[지바=뉴시스] > Contact us

본문 바로가기
   GLOCITY Co., Ltd.
무한한 도전과 창조의 열정 세계 속에서 도전하는 글로시티

공지사항

글로시티의 질문과 답변 게시판 입니다.
Contact us

[지바=뉴시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7-04 11:27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지바=뉴시스]전병훈 기자 = 지난달 30일 찾은 일본 지바시의 아마존 재팬 풀필먼트 센터 입구에 설치된 아마존 로고 *재판매 및 DB 금지 [도쿄·지바=뉴시스]전병훈 기자 = 지난달 30일 찾은 일본 지바시의 아마존 재팬 풀필먼트 센터(Fulfillment Center).도쿄에서 차량으로 한 시간 남짓 달려 도착한 이곳은 단조로운 외관과 달리, 바닥을 미끄러지듯 달리는 자율주행 로봇과 작업자들이 합을 맞추며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하루 60만 건의 상품이 여기서 분류·포장돼 일본 전역으로 흘러간다.현재 일본엔 지바 미나토 풀필먼트 센터를 포함해 약 25곳의 풀필먼트 센터가 있다.아마존(Amazon) 재팬은 이 풀필먼트 센터들을 거점으로 일본 47개 전 도도부현에 익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아마존이 보유한 자율주행 로봇·AI(인공지능) 기반 포장 시스템 등의 기술력과 전국 곳곳에 배치된 배송 거점이 유기적으로 작동한 결과다."하루 2~3시간이면 배송 준비 완료"…로봇과 AI의 합작 [지바=뉴시스]전병훈 기자 = 지난달 30일 찾은 지바 미나토 아마존 풀필먼트 센터에서 작업자가 포드에 상품을 무작위로 넣고 있는 모습이다.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지바 미나토 풀필먼트 센터엔 아마존이 개발한 자율주행 로봇 '헤라클래스 드라이브 유닛(Hercules Drive Unit)' 약 2500대가 분주히 움직인다. 이 로봇은 바닥에 부착된 QR코드를 따라 이동하며 선반을 작업자 앞으로 옮기는 역할을 수행한다.덕분에 작업자는 자리를 이동할 필요 없이 물품 분류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아마존은 상품을 여러 포드(Pod·상품 보관 선반)에 무작위로 나눠 보관하는 '랜덤 스토우(Random Stow)' 방식도 활용하고 있다. 동일한 상품을 여러 포드에 나눠 보관하면 특정 상품에 주문이 몰렸을 때 작업자가 쉽게 분류하고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같은 상품을 여러 포드에 분산해 보관하면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피킹(Picking)'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포장 단계에선 AI가 제품 크기를 감지해 포장재를 골라 밀봉하고, 파손 위험 제품에는 자동으로 보호 포장이 추가된다. 야쿠시지 요시나가(Yakushiji Yoshinaga) 아마 3일 국회 본회의에서 상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어제(3일) 국회 본회의에서 상법개정안을 처리했습니다. 이를 두고 ‘개미 투자자’들은 코스피 4000 돌파를 기대하며 반기는 반면, 재계는 경영권이 침해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는데요. 상법개정안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투자자와 기업에는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살펴볼게요.점(사실들) : 대주주 영향력 줄어들고 ‘개미’ 권한 확대먼저 상법개정안의 쟁점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 확대’입니다. 현행 상법의 제382조의3를 보면, “이사는 법령과 정관의 규정에 따라 회사를 위하여 그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여야 한다”고 돼 있습니다. 즉 기업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로 한정하고 있어요. 달라진 법안은 이를 ‘회사 및 주주’로 넓혔습니다. 이사의 책임이 ‘회사 이익’에서 ‘주주 이익’으로 확대되는 것이죠. 그동안 국내 기업들은 지배구조 개편 시 대주주의 이익만 극대화하고 다른 주주들의 이익을 외면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두 번째는 집중투표제 의무화입니다. 집중투표제란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선임할 때 선임하는 이사 수만큼 나오는 의결권을 주주에게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이사 3명을 뽑을 때 1주를 가진 주주는 3표를 행사할 수 있는데, 이 3표를 한 후보에게 몰아줄 수 있습니다. 이는 이사 전원이 대주주에게 우호적인 사람으로 뽑히는 것을 견제하기 위한 제도인데요. 일반 주주가 원하는 이사를 선임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소수 주주의 권리가 강화되는 측면이 있습니다.세 번째는 가장 쟁점이 됐던 이른바 ‘3%룰’입니다. 이사를 주주총회에서 감사위원으로 선출할 때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합산해 3% 이하의 의결권만 행사할 수 있게 제한한 것입니다. 지금은 대주주가 3%를 초과하는 지분을 자신의 특수관계인에게 옮겨 의결권을 확대해 사실상 자신이 원하는 감사를 뽑을 수 있어요. 당연히 감사위원들은 제대로 된 견제 역할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LOCITY | 글로시티